학술행사

3 09, 2014

시민사회 프로그램 워크숍 시리즈 Ⅲ -공적개발원조(ODA)와 시민사회의 개발협력 참여: 현황과 과제

By |2014-11-17T04:05:46+00:002014년 9월 3일|학술행사|시민사회 프로그램 워크숍 시리즈 Ⅲ -공적개발원조(ODA)와 시민사회의 개발협력 참여: 현황과 과제 댓글 닫힘

안녕하십니까. 시민사회 프로그램이 2014년의 세 번째 워크숍을 가질 예정입니다. 본 워크숍의 발표자는 KOICA ODA 연구팀의 선임연구위원으로 계신 김성규 박사님으로, "공적개발원조(ODA)와 시민사회의 개발협력 참여: 현황과 과제"의 [...]

26 06, 2014

[보고]시민사회 프로그램 워크숍 시리즈 Ⅱ- 한국 개발NGO의 개발 파트너십 동향과 도전과제

By |2014-11-17T03:59:11+00:002014년 6월 26일|학술행사|[보고]시민사회 프로그램 워크숍 시리즈 Ⅱ- 한국 개발NGO의 개발 파트너십 동향과 도전과제 댓글 닫힘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시민사회 프로그램은 2014년 6월 5일(목)에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본 워크숍에서는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의 손혁상 교수께서 “한국 개발 NGO의 개발 파트너십 동향과 도전과제"라는 주제로 [...]

27 05, 2014

시민사회 프로그램 워크숍 시리즈 Ⅱ- 한국 개발NGO의 개발 파트너십 동향과 도전과제

By |2014-11-17T03:58:25+00:002014년 5월 27일|학술행사|시민사회 프로그램 워크숍 시리즈 Ⅱ- 한국 개발NGO의 개발 파트너십 동향과 도전과제 댓글 닫힘

안녕하십니까.  시민사회 프로그램이 2014년 두 번째 워크숍을 기획하였습니다. 본 워크숍의 발표자는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의 손혁상 교수님으로, "한국 개발NGO의 개발 파트너십 동향과 도전과제"의 주제의 발표를 중심으로 워크숍을진행할 [...]

16 05, 2014

[보고] 시민사회 프로그램 워크숍 시리즈 Ⅰ -한국의 노동문제: 해법의 구조적 한계와 개혁의 방향

By |2014-11-17T03:59:18+00:002014년 5월 16일|학술행사|[보고] 시민사회 프로그램 워크숍 시리즈 Ⅰ -한국의 노동문제: 해법의 구조적 한계와 개혁의 방향 댓글 닫힘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시민사회 프로그램은 2014년 4월 29일(화)에 올해 첫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본 워크숍에서는 현재 한국 노동연구원 연구위원으로 계시는 박명준 박사께서 "한국의 노동문제: 해법의 구조적 [...]

22 04, 2014

시민사회 프로그램 워크숍 시리즈Ⅰ – 한국의 노동문제: 해법의 구조적 한계와 개혁의 방향

By |2014-11-17T03:58:40+00:002014년 4월 22일|학술행사|시민사회 프로그램 워크숍 시리즈Ⅰ – 한국의 노동문제: 해법의 구조적 한계와 개혁의 방향 댓글 닫힘

안녕하십니까. 시민사회 프로그램이 2014년도 기획 워크숍을 시작합니다. 본 워크숍의 발표자는 한국 노동연구원의 박명준 박사님으로, "한국의 노동문제: 해법의 구조적 한계와 개혁의 방향"이라는 주제의 워크숍을 할 예정입니다. [...]

3 03, 2014

한국과 아시아의 시민운동과 인권지표 개발 관련 발표

By |2014-04-22T06:44:37+00:002014년 3월 3일|학술행사|한국과 아시아의 시민운동과 인권지표 개발 관련 발표 댓글 닫힘

한국과 아시아의 시민운동과 인권지표 개발   공동주최: NGO학회, 아시아연구소 시민사회연구 프로그램, 한일장신대 SSK-NGO연구팀 일시 및 장소: 2014년 2월 7-8일, 한일 장신대 및 전북 완주, 임실군 [...]

16 08, 2013

아시아연구소 시민사회연구센터 월례세미나 – “초국적 정치와 사회운동”

By |2013-08-16T07:06:05+00:002013년 8월 16일|학술행사|아시아연구소 시민사회연구센터 월례세미나 – “초국적 정치와 사회운동” 댓글 닫힘

아시아연구소 시민사회연구프로그램 월례세미나 “초국적 정치와 사회운동” 연구책임자 : 임현진(사회학과), 공석기(아시아연구소) 안녕하세요. 아시아연구소 산하의 시민사회연구프로그램은 ‘지구정의’를 지향하는 초국적 시민사회(transnational civil society)의 활동 및 발전에 대한 관심을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