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이 답이다] (공석기/임현진)

2019 아연기반구축사업 & (재)사회적 가치 연구원 지원

 

<목차>
머리말: 상생과 협동의 활성화를 위한 지역의 역할
– 인간과 자연의 만남; 지역 공동체 기원으로서 마을

서론
(1) 왜 마을에서 답을 찾아야 하는가?
(2) 마을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가벼운 공동체’와 다섯 가지 요인
(3) 국내외 사례의 개관

제I부 지역 상생과 협동을 위한 키워드

1장 끈기  Resilience 회복력/ 탄력 지역공동체의 끈기 (Perseverance) 재발견하기
(1) 맥락과 이론적 배경 (주요개념, 이론, 메커니즘)
(2) 일본 미야자키 사례
(3) 한국 성남 주민 신협 (전통적 커뮤니티 재발견)
(4) 한국 안산 의료사회적협동조합, 용인 수지 느티나무 도서관 (신도시 커뮤니티 구축 사례)
(5) 사례 비교를 통한 함의와 과제

2장 혁신 Innovation 지역 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혁신
(1) 맥락과 이론적 배경
(2) 로컬푸드 혁신: 완주 로컬푸드 협동조합
(3) 수도권 생활협동조합의 혁신:  경기두레생협
(3) 사회적경제 클러스터: 성수 앨린 & 헤이그라운드 (With Me & BtoB)
(4) 사례 비교를 통한 함의와 과제: 수도권과 지방/ 상품과 사회적 서비스 차이

3장 협치 Governance 건강한 지역공동체는 (정치보다) 협치가 우선
(1) 맥락과 이론적 배경 (도시정치, 도시재생, 토건, 형님정치)
(2) 부산시 도시재생 프로젝트: 해운대, 부산항 그리고 감천문화마을.. 산복도로
(3) 위로부터 기획된 협치 프로젝트: 노원구 EZ House, 부천FC 사회적협동조합
(3) 나주의 협치 실험: 기초단위 야심찬 기획 그리고 장애물
(4) 거버넌스 실험: 중간지원조직, 나주 이음센터 사례
(5) 사례 비교를 통한 함의와 과제

4장 소통 Communication 소통은 지역 민주주의 실천과 학습 도구
(1) 맥락과 이론적 배경
(2) 촛불, 사회적경제, 마을사업, 직원 소통 등
(3) 마을의 관계 맺기: 꿈마을 공동체의 마을력 키우기 전략 소개
(4) 사례 비교를 통한 함의와 과제

5장 참여 Engagement
(1) 맥락과 이론적 배경
(2) 지역/마을로 들어갈 시민사회 활동가
(3) 마을 공동체를 재건하는데 주목해야 할 여성리더십
(4) 공릉청소년정보문화센터: 주민이 리더가 되어야 한다. 판을 깔아주는 것, 사업 주도권; BtoB 프로젝트 사례: 자원봉사자에서 사회적기업의 주인공으로 성장하기
(5) 사례 비교를 통한 함의와 과제:

II부 도전을 위한 실험과 과제

6장 공유경제 사회
(1) 맥락과 이론적 배경: 디지털 시대, 임대문화, 고유경제, 신뢰구축 그리고 연대
(2) 공정무역 도시, 공정무역 마을, 공정무역 실천: 성북구, 금천구 사례
(3) 플랫폼 경제 실험: 헤이그라운드 안에서 협동 성장 경험한 With Me & BtoB 사례
(4) 스페인 경험의 함의

7장 에너지전환 사회
(1) 맥락과 이론적 배경
(2) 제주 화순리 사례
(3) 노원구 EZ하우스 사례
(4) 위로부터 기획 대 아래로부터 기획의 비교 및 함의

8장 지방분권 사회
(1) 맥락과 이론적 배경
(2) 농촌은 우리의 미래다: 귀농, 귀촌, 귀향
(3) 지역 그리고 농민은 생존권 위기를 마주하다
(4) 과연 지역은 청년을 부를 준비가 되어 있는가? 지역과 청년은 짝사랑 관계인가

맺음말: 지속가능한 미래로서 마을: 청년을 중심으로

 

  • 5월말 단행본 발간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