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에 해답이 있다 :한국사회에서 지역 되찾기』는 한 세대의 차이를 극복하고 공동으로 협력해서 작업해온 임현진, 공석기 저자가 2015년에서 2019년까지 5년에 걸쳐 국내외 다양한 지역공동체 활성화 작업에 대한 문헌 및 자료조사, 지역 현장 방문 및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여 획득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된 귀중한 성과다. 국내에서는 7개 권역, 24개 지역의 현장 조사와 30여 명의 인터뷰 및 녹취가 실시되었고, 해외 현장 방문 및 인터뷰 조사는 일본 도쿄, 교토, 미야자키, 영국 런던, 이탈리아 볼로냐 및 트렌티노, 스페인 빌바오 등에서 이루어졌다.

『마을에 해답이 있다 – 한국사회에서 지역 되찾기』는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가 기획한 세계 속의 아시아연구 시리즈 29편으로 발간되었으며, 각 장에 해당하는 논문들은 시사월간지 [월간중앙]에 2017년 3월부터 9회에 걸쳐 연재된 바 있다.

농촌 고령화와 도시 개인화의 그늘에서 새로운 ‘공동체’의 복원을 모색하고 기획하는 시민운동가, 정책기획자들에게 『마을에 해답이 있다 – 한국사회에서 지역 되찾기』가 제시하는 ‘이해관계자의 사회 모델’에 근거한 ‘가벼운 공동체’ 제안과 풍부한 사례 연구는 새로운 비전과 영감을 제시한다.

제I부 지역공동체의 상생과 협동을 위한 키워드 _ 35

제1장 끈기(Perseverance): 지역공동체의 회복력 재발견 _ 37
1. 사회경제적 맥락과 대안 모색 _ 37
2. 일본 규슈 미야자키현 아야정에서 지역공동체 끈기를 발견하다 _ 41
3. 한국 지역공동체 회복력의 재발견: 성남 주민신협 _ 50
4. 안산의 의료사회복지사회적협동조합 그리고 용인 수지 느티나무도서관 _ 56
5. 사례 비교를 통한 함의와 과제 _ 64

제2장 혁신(Innovation): 개인, 조직, 그리고 커뮤니티 혁신 _ 69
1. 사회경제적 맥락과 대안 모색 _ 69
2. 로컬푸드 혁신: 완주 로컬푸드 협동조합 _ 72
3. 수도권 생활협동조합의 혁신: 경기두레생협 _ 80
4. 사회적 경제 클러스터: 성수 앨리 &헤 이그라운드 _ 86
5. 사례를 통해 본 혁신에 대한 비교: 함의와 과제 _ 94

제3장 협치(Governance): 개발이익 연합에서 공공선의 협동으로 전환 _ 99
1. 사회경제적 맥락과 이론적 배경 _ 99
2. 수도권 거버넌스 사례: 노원구 에너지제로하우스 _ 101
3. 지방 소도시 협치: 나주 혁신도시 실험 _ 108
4. 지역 광역도시 거버넌스: 부산 도시재생 프로젝트 _ 115
5. 사례를 통해 본 협치 비교: 함의와 과제 _ 118

제4장 소통(Communication): 소통 정치의 학습과 실천 _ 123
1. 사회경제적 맥락과 이론적 배경 _ 123
2. 촛불의 소통정치, 마을에서 재발견하기 _ 127
3. 소통정치의 실험: 기후정의, 직원협동조합, 도시재생, 마을공동체 _ 130
4. 사례를 통해 본 소통정치: 함의와 과제 _ 145

제5장 참여(Engagement): 주민의 자발적 공동체 참여 활동 _ 149
1. 사회경제적 맥락과 이론적 배경 _ 149
2. 귀농, 귀촌인, 새로운 지역 리더인가? _ 151
3. 지역에서 새로운 리더 세우기 _ 159
4. 마을 공동체를 재건하는 요인: 자원봉사의 아래로부터의 참여 _ 163
5. 사례 통해 본 참여: 함의와 과제 _ 170

제Ⅱ부 마을 공동체의 실험과 과제 _ 175

제6장 공정무역 그리고 공유경제 _ 177
1. 사회경제적 맥락 _ 177
2. 공정무역 도시: 성북구 페어 라운드(Fair Round)와 금천구 민들레워커 _ 180
3. 정보플랫폼 구축실험: 비투비의 품 프로젝트 _ 194
4. 이론과 실천 그리고 정책적 함의 _ 198

제7장 에너지전환과 지역공동체 _ 201
1. 사회경제적 맥락 _ 201
2. 에너지전환과 자립은 필수조건 _ 203
3. 에너지전환: 마을과 기업의 갈등적 협력 _ 208
4. 에너지제로하우스 실험: 위로부터 기획의 명암 _ 214
5. 함의 및 정책 과제 _ 217

제8장 지방 소멸과 분권 _ 219
1. 사회경제적 맥락 _ 219
2. 농촌은 우리의 미래인가? _ 221
3. 지방분권을 위한 과제: 농민, 농촌, 농업의 트릴레마(trillemma) 넘어서기 _ 225
4. 지방분권을 위한 준비: 귀촌·귀농 청년 부르기 _ 231

맺음말 지속 가능한 미래로서 마을 _ 235